scrit async src="http://pagead0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11 crosssorigin="anonymous">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가슴압박소생술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가슴압박소생술

by 마인드하트 2024. 7. 1.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AED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자동으로 심전도를 분석하여

심실세동(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을 제거할 수 있는 장비.

자동제세동기 또는 AED 라고 한다.

패드를 통해 수집된 심전도로

자동으로 환자의 심장상태를 확인하고

전기충격을 주기 때문에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법이 간단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공공보건의료기관, 구급대에 운용중인 구급차,

여객항공기와 공항, 철도차량, 20톤 이상의 선박,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등에

자동심장충격기를 갖추고

매월 1회 점검하도록 정하고 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2)

 

급성 심장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

심근경색 후 발생하는 심실세동이기 때문에

가슴압박과 빠른 심장 충격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급과 교육으로

의료인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제세동을 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과 마찬가지로

119 구급상황요원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실세동

심장의 심실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하여

심실의 각 부분이 무질서하게 불규칙으로 수축하는 상태를 뜻한다.

심실세동이 나타나면 정상적인 수축과 이완을 하지 못해

심장이 정지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1. 전원 켜기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한다.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적용해야 한다.

먼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누른다.

 

2. 두 개의 패드 부착

패드 1개는 오른쪽 빗장뼈 아래,

다른 패드 1개는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간겨드랑선에 부착한다.

패드 부착 부위에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한다.

패드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한다.

 

3. 심장리듬 분석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뗀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라면

심장충격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지시와 함께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에 스스로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시작한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충전은 수 초 이상 소요되므로

그 동안에는 가능한 가슴압박을 시행한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계속하십시오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며,

이 경우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4. 심장충격(제세동)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이 깜박이기 시작한다.

깜박이는 버튼을 눌러 심장충격(제세동)을 시행한다.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5.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을 실시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30:2로 다시 시작한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2분마다 심장리듬을 반복해서 분석하며

이러한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심폐소생술의 시행은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가슴압박소생술의 시행방법

인공호흡 없이 가슴압박만을 실시하는 응급처치를 가슴압박소생술이라고 한다.

보건의료인이 아니어도 누구나 실시할 수 있다.

  

1. 반응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환자의 반응 여부를 관찰한다.

 

2. 119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한다.

 

3. 구급상황(상담)요원 지시에 의한 가슴압박소생술

심폐소생술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은 신속하게 119에 신고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전화를 스피커폰 상태로 전환시킨 후

구급상황(상담)요원의 도움에 따라

가슴압박소생술을 시행한다.

 

4. 호흡 확인

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심장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정확한 호흡상태 여부는 구급상황(상담)요원의 도움을 받는다.

 

5. 가슴압박 시행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가슴 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소아 4-5cm)

강하고 빠르게 시행한다.

하나’.‘’,‘’,...,‘서른하고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한다.

환자가 회복되거나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지속한다.

심정지 초기에는

가슴압박만을 시행하는 가슴압박소생술과

인공호흡을 함께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의 효과가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인 목격자는 지체 없이 가슴압박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6. 회복자세

가슴압박소생술을 시행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숨길)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그 후 환자의 반응과 호흡을 관찰한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진다면

심장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신속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한다.